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R&D
* 인공지능, 미세먼지, 가상증강현실, 스마트시티, 자율주행차 등 9개 분야
** 빅데이터, 차세대통신, 자율주행차, 스마트시티, 드론, 신재생에너지 등 13개 분야
이 프로젝트의 추진목적은 시민 삶의 질 향상 및 도시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구축에 있다.
소요예산은 총 1,159억원(국비 843억원)이며 기간은 ‘18 ~ ’22년(총 5년))이다.
< 국가전략프로젝트 R&D 예산표 (단위 : 억원) >
구분
|
국비
|
지자체
|
민간
|
합계
|
금액
|
843*
|
49
|
267
|
1,159*
|
* 국토부 453억원, 과기정통부 390억원
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.
ㅇ (핵심과제1) 스마트시티 모델 및 기반기술 개발
– 도시데이터 관리 핵심기술 및 데이터허브 표준모델 개발 및 스마트시티 운영 정보 및 지식의 축적․확산체계 구축
ㅇ (핵심과제2)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시민중심 서비스창출형 실증
– 시민이 불편한 도시문제 해결(교통·안전·행정 Use Case)을 위해 맞춤형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고,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 개발·검증
< Use Case형 연구 모델>
ㅇ (핵심과제3) 기술혁신 및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도시혁신형 실증
– 新산업 생태계 조성 및 지속가능 성장(환경, 에너지 등)을 위한 맞춤형 데이터허브를 구축하고, 다양한 기술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·검증
< 리빙랩형 연구 모델>
< 스마트시티 도시서비스 제공모델 >
[참고자료]
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R&D 본격 착수, 국토교통부, 2018.3.30
출처]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R&D|
□ 실증도시 선정계획
ㅇ 공모 공고(3.30) → 지자체 설명회(4.6) → 접수(5.29) → 1,2차 심사(6월) → 종합심사(7월) → 선정 공고(7월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