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마트시티 개념 – 4차 산업혁명 추진 위원회

By 2018년 March 27일Column/Paper

스마트 시티에 대한 개념은 각국 경제 및 발전수준, 도시 상황과 여건에 따라 스마트시티는 매우 다양하게 정의활용되고, 접근전략에도 차이가 있습니다.

선진국(유럽 등) 신흥국(아시아 등)
주체 민간주도 (삶의 질 향상) 공공주도 (국가 경쟁력 강화)
목적 기후변화 대응, 도시재생 급격한 도시화 문제 해결, 경기부양

일반적으로 “도시에 ICT・빅데이터 등 신기술접목하여 각종 도시문제해결하고,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도시모델”로 정의하고 있으며

최근에는 다양한 혁신기술을 도시 인프라와 결합해 구현하고 ·복합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의 “도시 플랫폼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.

도시 플랫폼 구성 (계층)

도시 플랫폼은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 서비스 계층에서 도시문제 해결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서비스가 구현되고, 이를 위한 신 기술의 융·복합활동이 일어납니다.

서비스 계층아래 데이터 계층이 있으며, 이 단계에서 IoT 빅데이터 등의 데이터 기반 도시 운영 활동이 일어납니다.

이 계층의 인프라에는  도시 인프라 및 공간 정보 인프라가 있습니다.

이런 도시 플랫폼을 기반으로 교통·에너지·환경·생활/복지·안전/행정·경제·주거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— 1월 29일 4차 산업혁명 추진 위원회 “도시혁신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”에서 발췌

Leave a Reply